본문 바로가기

제2언어습득13

폴라이트네스(Politeness) 간단히 알아보기 우리는 일상 언어생활을 깊이 들어다 보지 않는다. 그저 보고 싶은 것을 듣고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한다. 하지만 가끔은 우리의 말과 행동이 어떤 영향을 주고 상황을 바꿔가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언어는 우리의 인간관계를 바꾸게 하고 새롭게 조절해 주기도 한다. 폴라이트네스(Politeness) 란? 폴라이트네스(Politeness) 란, 언어의 오직 대인관계의 확립이나 유지•조절에 관련된 움직임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공손이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폴라이트네스에는 이렇듯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꿔가게 하는 움직임을 가지고 있다. 그것에는 긍정적인 방향과 부정적인 방향으로 가려고 할 때에 전략도 있다. 즉 우리의 생활은 언어 표출로 자기가 원하는 관계를 형성해 가고 그렇게 현실을 바꾼다. 그 기본에는 폴라이트.. 2023. 3. 11.
스테레오타입과 스키마 TV를 보거나 혹은 책을 읽다가 스테레오타입, 스키마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스테레오타입과 스키마에 대해 알아보자 1. 스테레오타입 (Stereotype) 이란?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특정 집단이나 개인에 대해 갖는 고정된 생각이나 편견을 말한다. 이는 주로 인종, 성별, 나이, 종교, 직업 등과 같은 인간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것이다 스테레오타입은 일반적으로 불필요하거나 부당한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개인의 고유한 경험과 성격을 고려하지 않고 특정 집단에 대해 일반화된 생각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는 인간관계에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며, 불공정한 차별이나 성평등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들여, "여자는 운전을 못한다" 또는 "남자는 감성적이지 않다"와 .. 2023. 3. 10.
동기부여 이론 (행동강화이론) 학습자, 학생에게 가르칠 때에는 수업 진행을 원활하게 하고 학생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 동기부여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먼저 동기부여 이론중 행동강화이론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1. 행동 강화이론 최근 동기부여에 관한 연구에서는 인지적, 목표 지향적인 특징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것들의 개념은 지금까지의 견해에서 꽤 진행된 것으로 행동이론과 그 연구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다. (다만, 그것들은 인간보다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된 것) 초기, 행동이론의 견해에서는 인간은 기본적인 동인이나 욕구에 반응하는 것으로 그려져, 비교적 수동적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어느 학자가 말하기에는 ‘행동주의자의 견해는, 인간이란 그늘에서 조용하게 신진대사를 하고 가끔 더운 햇볕이나 차가운 맥주라는 미끼에 의해 행동으.. 2023. 3. 10.
제2언어습득이론 용어 1 명시적 지식과 암시적 지식, 그리고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인터페이스 포지션과 논인터페이스 포지션에 대해 알아본다. 명시적 지식(Explicit L2 Knowledge)과 암묵적 지식 (Implicit L2 Knowledge)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학습언어에 관한 지식 중에서, 언어학적 분석에 의해 설명할 수 있는 언어 규칙을 명시적 지식이라고 한다. 명시적 지식은 대부분의 경우, 교과서나 교실에서의 교육에 의해 획득된다. 그에 반해, 학습자의 직관적 지식으로 명확하게 설명은 할 수 없더라도 감각적으로는 알고 있는 것을 암시적 지식이라고 부른다. 인간의 제1언어에 관한 지식은 특별한 언어학적 트레이닝을 받지 않는 경우, 대부분이 '암시적'이다. 선언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과.. 2023.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