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의 형식명사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もの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1。ものだ。
○접속: 동사/ イ형용사 /ナ형용사形-기본형 /ない
○의미: ~ 하는게 당연하다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냄)
본래 가지고 있는 성질에 대해 마음속으로 느끼는 것들에 대해 담아서 말할 때 사용된다. 本来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적인 성질을 말하며 훈계하는 경우도 있다. (学生は勉強するものだ)
-赤ちゃんは泣くものだ
-世間は冷たいものだ。
※ ものだ (よく ~(동사/사전형/ た)ものだ 놀라거나 감탄할 때 기분을 나타낸다
-よく一級に合格したものだ。
2。ものではない。
○접속: 동사- 사전형
○의미: ~해서는 안된다
- 理由も聞かずに、しかるものではない
3。~たものだ。
○ 접속: 동사-タ형
○ 의미: 과거에 잘 (자주) ~ 했다
-学生のころ、この図書館によく通ったものだ
4。~たいものだ。
○접속: 동사-ます형
○의미: ~하고 싶다 (강한 희망을 나타냄)
- 一度、富士山を近くで見たいものだ
- 夢の中でもいいから、きれいになりたいものだ。
5。というもの(名)
○ 접속: 명사
○ 의미: 일반적으로 ~라고 불리는 물건 (것) ~라는 것을
-この間、テレビゲームというものを始めてした。
6。~ものがある。
○접속: 동사/イ형용사/ナ형용사形-기본형/ない
○의미: ~에게는 (어떤 특징이) 있다
- この映画には人の心あを響くものがある
7。~ものか。
○접속: 동사/イ형용사/ナ형용사形ー기본형
○의미: 결코 ~ 없다
-こんなまずいパンは二度と買うものか (もんか)
※~ものですか (정중형)
8。~もの。
○접속: 동사/ イ형용사/ナ형용사形/ 명사ー문말의 형태
○의미: ~니까( ~걸 )( 때문에)
- Q.どうして薬のまないの? A:だって、苦いもの(もん)
~ 니까 ~걸 (때문에)
대화의 문장 끝에 붙여서 이유를 나타낸다. 어린사람이나 아이들이 많이 쓰는 표현이다. もの도 많이 쓰이지만, 좀 더 허물없는 사이 (친한사이) 회화체에서는 もん을 많이 쓴다. だって를 함께 쓰면 좀 더 어리광을 부리는 듯한 느낌의 이유를 나타낸다.
댓글